Part 2: Climate Change Investing
기후 변화와 투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가운데 환경(E) 변화에 따른 투자 트렌드를 이끄는 주체는 누구입니까? 환경 변화에 대한 투자 방식의 증진과 혁신을 이끄는 원동력은 무엇이며 이를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입니까? 투자기관 및 자산 운용사들이 기후 변화에 대한 투자 이슈를 우선순위에 두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본 보고서를 통해 기후 변화에 따른 asset owner들과 자산 운용사들의 투자 목표를 확인할 뿐 아니라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 트렌드
10x10 토론 결과, asset owner인 투자자들이 자산운용사 보다 투자 프로세스에 기후 변화 관련 지표를 도입하는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일부 운용사들은 기후 이니셔티브에 대한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자산 운용 규모 및 내부 리소스를 활용하여 독점적인 리서치 이니셔티브를 구축해 왔습니다. 투자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비영리 기관들이 기후 변화 응대에 진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rom the experts:
투자 포트폴리오를 통해 조직 전체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모습도 관찰되었습니다. 탄소 포집(carbon recapture)과 같은 기술에 투자하며 투자 포트폴리오 내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거나, 탄소배출량 제로 달성을 위해 별도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투자자가 있는가 하면, 투자자들에게 이러한 유형의 투자 옵션들을 제공하고, 자사 고유 자금을 다양한 산업 기술에 투자하는 자산운용사도 존재했습니다.
기후 변화와 관련된
투자 정책 도입 촉매제
자산 운용사들은 Cerulli와의 인터뷰를 통해 지속 가능한 투자를 위한 정책 도입은 외부 고객의 수요에 추진된다고 밝혔습니다. 운용사들은 일반적으로 기후 변화와 관련된 투자 정책도입에 대한 최종 결정이 투자 고객들에게 달려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자산 운용사들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나름의 조치를 취하고 있긴 하지만, 대부분 ESG 평가 지표를 투자에 전혀 고려하지 않는 고객들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경우 운용사는 결국 수탁자로서 고객의 투자 목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운용하게 됩니다.
반면, 투자자들이 기후변화와 관련한 지표도입을 고려하게 만든 핵심 동력은 내부 조직의 가치관에 기인했습니다. 이러한 내부 가치관들은 투자 부서 자체적으로 생겨나기도 하고, 다른 부서로부터 유입되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투자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을 기반으로 기후 변화에 초점을 맞춘 투자 정책을 채택한 투자자들도 있었습니다.
From the experts:
전략적 파트너 및 전담 인력
투자자들은 기후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조치를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직면하는 경우 종종 길잡이가 되어줄 중개 기관(intermediaries)에게 의지하기도 합니다. 한 비영리 단체는 ESG 고려 사항을 접목한 투자를 실행할 수 있도록 투자 컨설턴트들에게서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또한, 퇴직연금 사용자(기업)의 경우, 자사의 DC형 퇴직연금 제도를 위해 지속가능한 주식 옵션 상품들을 개발하고 적합한 운용 체제를 수립하기 위해 컨설턴트와 협력하거나, 컨설턴트가 기후 변화 관련 데이터 수집하여 투자에 투자 프로세스에 통합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산운용사의 경우, ESG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기후 변화와 관련한 투자 부서를 설립하거나 전담 인력을 배정했다고 응답했습니다. 또한, 투자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ESG 정책들을 투자 프로세스에 광범위하게 통합하는 일에 도움이 될 ESG 책임자를 고용한 운용사도 존재했으나, 투자 부서의 규모가 제한적인 관계로 이 경우는 다소 드문 편입니다. 한편, 고용된 ESG 책임자들은 주로 자사의 독점적인 기후 변화 리스크 연구를 주도하며, 경우에 따라 다양성과 포용성(Diversity and Inclusion)을 촉진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rom the experts:
기후 데이터 이용
여러가지 당면한 과제 가운데서도 업계 관계자들은 일관성 있는 ESG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투자자들과 운용사들은 투자절차의 간소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므로 유럽 기업들이 공시해야하는 ESG 지표들을 미국 기업들에게도 공시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결과 데이터의 표준화가 마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표준화 문제는 ESG를 정의하는 문제와 ESG에 대한 미흡한 정의가 데이터 이용 및 보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From the experts: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 실행 도입의 장애물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 실행에 있어 가장 자주 언급되는 걸림돌은 규제 장벽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재정적 요인을 둘러싼 규정들입니다. 미국의 퇴직연금 사용자(기업)들은 노동부 지침을 어기는 것이 우려되어 기후 변화 고려 사항들을 투자에 통합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 집행에 나서지 않는 기업들이 지목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잠재 투자 대상들을 선별 절차에서 배제하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 비영리 단체는 지구 온난화에 책임이 있는 에너지 섹터들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시 필수 보유 종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섹터들을 투자 후보군에서 제외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일본의 한 퇴직연금 사용자 역시 자사의 퇴직연금 제도 가입 직원들이 기후 이니셔티브로 인해 선택가능한 투자 상품 옵션이 제한되는 것을 대체로 원치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기후변화와 투자의 완전한 통합을 막는 또 다른 요인은 패시브 운용 자산을 어떤 식으로 검토해야 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입니다. 투자자산의 상당 부분을 패시브 전략으로 운용중인 한 퇴직연금 사용자 기업은 패시브 전략으로 운용중인 투자 자산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일한 책임투자 전략은 투자 배제 전략(exclusions)인 네거티브 스크린(negative screen) 도입으로 제한된다고 응답했습니다.
From the experts:
결론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 접근법 통합이 단독으로는 이뤄지기 어렵다는 사실입니다. 투자자들은 보다 광범위한 접근방식으로 투자 시작 단계에서 자산 운용사나 중개기관(컨설턴트 또는 외부위탁운용관리(OCIO))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고, 자산 운용사들은 일반적으로 고객의 요청에 즉각 대응하기 위하여 외부 데이터 공급업체나 전문가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투자가 전략적 파트너사의 활용에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This is just a snapshot. Get the full Climate Change Investing report by registering at the top of the page.
Please kindly read our Privacy Policy first before you request the full copy of research. In requesting this information you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bout the 10x10 report
2021년 3분기 러셀 인베스트먼트는 전세계 대형 연기금 및 기관 투자자들과 같은 asset owner들의 공통 관심분야를 발표하고 논의하는 Partner Innovation Lab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주제는 리서치 컨설팅 기관인 Cerulli Associate가 각 10군데의 asset owner 및 자산운용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조사되었습니다. 그 결과 ‘다양성 및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 ‘기후 변화와 투자’, ‘투자자들의 투자 성과 추구 방법’ 등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당사는 각 주제에 대한 글로벌 최고 기관 투자자 및 운용사들의 관점을 담은 ‘10X10 리서치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The result is a three-part series:
이번 설문 조사에는 다음과 같은 기관 투자자 및 자산운용사들이 참여했습니다(알파벳 순으로 나열).
퇴직연금 사업자(sponsor): The Boeing Company, Fujitsu Global, Mazda Motor Corporation, Microsoft, Mitsubishi Electric, Nestlé, Roche 및Unilever.
비영리 투자단체: The New York Presbyterian Hospital,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및 Thomas Jefferson University.
대체투자 운용사: Brevan Howard, Hamilton Lane 및 Oaktree Capital Management.
채권 운용사: BlueBay Asset Management 및 Western Asset Management Company.
멀티 에셋 운용사: BlackRock, J.P. Morgan Asset Management, Morgan Stanley, Putnam Investments 및 Wellingt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