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 by Ten 10 of the world's leading institutional investors 10 of the world's leading asset managers

seeking returns icon

Part 3: Investors' Methods for Seeking Returns

10x10 보고서
3부: 투자자들의 투자 수익 추구 방법

현재와 같은 저수익 (Low return) 투자 환경에서 자산 운용사 (asset manager) 및 투자자 (asset owner)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저금리 기조에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요? 사모시장 (Private market) 및 대체 투자는 자산 운용사 및 투자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까요? 그리고 수수료 인하 압력이 자산 운용사 및 투자자 모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Request our 3-part 10x10 report

You'll receive our Diversity & Inclusion report today, followed by the Climate Change and Seeking Returns reports when they're available.

* Asterisks indicate required fields.

Your information is never shared with third parties. View our privacy policy.

headshot of Kate El-Hillow, Chief Investment Officer

Kate El-Hillow

Chief Investment Officer, Russell Investments

러셀 인베스트먼트 최고 투자 책임자(CIO)
Kate El-Hillow의 견해

선도적인 기관 투자자의 수익 추구 전략에 중점을 두는 사모 시장 (private market)

10x10 보고서의 3번째 주제의 결론은 사모시장 투자가 선도적인 기관 투자자들의 수익 추구 투자 전략에 이점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사모시장 투자가 강력한 수익을 창출하는 수단이므로 투자 시 고려해야 한다는 Russell Investments의 투자 신념과도 일치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당사는 사모시장 투자 역량을 확장하기 위해 고군분투해 왔습니다. 더불어 이번 조사 참여자들이 사모시장의 주요 특징으로 일컫는 비유동성(illiquidity), 사모 펀드 투자 접근성 (access) 및 토탈 포트폴리오 투자차원에서의 사모투자 (total portfolio approach)에 대해서 당사와 동일한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도 발견하였습니다.

사모 시장의 유동성

이번 조사에 응한 일부 투자자들은 사모 시장의 유동성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반면 또 다른 투자자들은 "사모시장 투자는 시가로 평가되지 않고 장부 가치로 평가되므로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제한하는데 도움이 된다."라는 이유로 사모 시장 투자의 “스무딩 효과 (smoothing effect)"에 주목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기관 투자자들이 실제로 감당할 수 있는 비유동성 투자 수준이 그들이 예상하는 수준 보다 높은 경우를 다수 관찰하였습니다. 사모 시장 투자전략에 따라 다양한 현금흐름 패턴을 창출합니다. 가령 일반적인 바이아웃 펀드에서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출자 후 7~8년 까지 투자금 회수, 반면 사모 크레딧 펀드의 경우, 바이아웃 펀드보다 단축된 출자 후 5~6년 까지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고 기대합니다.

최상위 사모 투자 운용사에 대한 접근

본 조사에 참여한 명성 높은 글로벌 투자자들 역시 최상급의 사모 투자 기회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기업의 퇴직연금 운용 담당자는 "사모 펀드 운용사와 교류하고 싶으나, 최상위 사모펀드 운용사와의 직접 접촉은 쉽지 않습니다” 라고 답변했고, 다수의 기관 투자자들 역시 유사한 의견을 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Russell Investments는 투자자들은 정상급 사모 투자 운용사와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략적 투자 파트너와의 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조언하고자 합니다.

이번 Cerulli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모 투자 영역에서는 운용사 간 성과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투자 성과 분포는 사모투자업계 내 최상위 성과 매니저 쪽으로 편향되어 있다. 성과 분포가 편향되어 있다는 것은 우수한 투자 실적을 보유한 운용사들이 보수 협상에 유리하고, 운용사들이 직접 투자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금 유치 시에 최상위 운용사들은 투자 집행 규모가 큰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하여 중소형 기관들은 투자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사모 시장 투자 접근성의 중요함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OCIO 운용사와 협업하는 것이 이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인용하여 Russell Investments 는OCIO운용사가 투자자들이 필요로 하는 사모시장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토탈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사모시장 투자 중요성

저 Kate El-Hillow는 본 조사의 참여한 글로벌 대형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최고 투자 책임자로서, 다양한 투자 면모를 고려한 토탈 포트폴리오 관점에서의 운용을 추구하고 있으며, 사모시장 투자 시 그 중요성은 더욱 필수적입니다. 본 조사에서 한 퇴직연금 운용 담당자는 "사모 펀드를 전술적으로 운용하기란 불가능합니다. 사모 펀드 특성상 장기 투자이므로 투자 방향을 바꾸기 어렵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사모시장에서의 투자 기회는 클 수 있으나, 앞서 조사 참여자가 언급한 것과 같이 사모시장에서는 투자 철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과거 대비 사모 시장에 접근하는 방법은 증가하였고, 이는 투자자 맞춤화가 가능한 사모 투자기회의 증가로도 해석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포트폴리오 구조의 복잡성 (complexity) 이 고도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토탈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사모 및 공모 펀드 투자의 균형을 이루며 금융시장 변화에 따른 포트폴리오의 변화를 역동적으로 운용할 줄 아는 전략적 투자 파트너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수익 추구 문제

많은 투자자들이 우수한 실적 달성을 하고 2021년을 마감하였으나, 투자자 및 운용사들은 향후 저수익(low return) 환경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저수익 환경과 관련된 문제 외에도 운용사들은 투자자들이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는 환경에 대응할 방안, 즉 비용 절감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Cerulli 조사를 통해 글로벌 대형 투자자 및 운용사들은 향후 투자 환경, 사모 시장 투자 전망 및 수수료 압박 전망에 대한 insight를 공유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 및 운용사들은 일반적으로 향후 저수익 환경에 직면할 것에 동의하며, 사모 시장 투자가 투자자들의 목표 수익률 달성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했습니다. 한편, 조사 참여자들 중 다수는 사모 투자 역시 전반적인 저수익 투자 환경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기도 하였습니다. 결국, 수익률 증대를 위하여 전통적인 사모 펀드에 투자하는 많은 투자자들 역시 성장, 벤처 캐피털, 사모 채권 등 시장 내 다양한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수익 추구 환경

대부분의 투자자 및 운용사들은 2022년, 그리고 향후 투자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세계 주요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정책 도구를 소진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Cerulli 조사의 참여자들 일부는 시장 전망에 따라 목표 투자 수익률을 하향조정 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한 자산 운용사는 그들의 고객, 특히 기관들이 목표 수익률을 갑작스럽게 대폭 변경하는 것은 운용 포트폴리오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관투자자 고객들은 지난 10년 간 목표 수익률을 점진적으로 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운용사에 의하면, 그들의 고객들은 일반적으로 목표 수익률을 연간 25BP~50BP 하향 조정하였다고 합니다.

From the experts:

white pencil

"The longer it goes on, the greater the worries become that we get that asset price bubble. Even though we aren’t out of the crisis, we are emerging with valuations that are fuller than they have been in other financial crises."

- Asset manager

black pencil

"If you have an incremental dollar, where do you want to put it? Equities are fully valued. Do you want to be buying bonds? Maybe if you think its QE forever…[The] other place is private equity and venture capital, but there’s a ton of capital on the sideline. The valuations are very rich. [There is] not much value anywhere."

- Asset owner

사모 투자 영역

고수익 고위험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사모 시장 및 사모 채권 투자는 주된 관심 영역입니다. 사모 투자 영역으로 이미 진입한 투자자들은 전통적인 사모 펀드(즉, 레버리지 바이아웃)뿐 아니라 growth 및 venture capital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비유동성은 사모 투자의 특징입니다. 사모시장 투자로 비유동성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조사에 참여한 투자자와 운용사들은 비유동성 프리미엄만이 사모 투자 수익의 원천이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한 멀티 에셋 펀드 운용관계자는 투자시장에서의 프리미엄은 투자의 복잡성 (complexity premium) 과 접근 프리미엄 (access premium)으로 부터 파생될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여기서 복합성 프리미엄은 투자가 어떻게 운용되느냐에 따라 발생되며, 접근 프리미엄은 포트폴리오 내 전략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따라 발생하는 프리미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사모시장투자의 또 다른 이익으로는 사모투자가 시가로 평가를 받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않아 포트폴리오 스무딩 효과 (smoothing effect)를 기대할 수 있으며, 퇴직연금 운용 기관의 경우는 가입자들의 분담금 규모를 큰 변동 없이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Key objectives of private investment strategies 2021

From the experts:

white pencil

"What we are seeing today is a tremendous desire for private markets. That move is not finished; clients still want private markets where they can find yield and are willing to take more risk—either volatility risk, credit risk, or illiquidity risk—to fulfill their target returns."

- Asset manager

black pencil

"Private equity—you can’t do tactically; they are long-term in nature and difficult to reverse course. So the allocations we made 10 years ago, we are cognizant of how we are reinvesting this capital."

- Asset owner

수수료 하향 압박

저수익 전망 외에도 자산 운용사들은 수익률 마진이 낮아지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야 합니다. 투자자가 투자 협상력을 지배하는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운용사들은 수수료 하향 압박과 서비스 수준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 증가 상황에 직면했고, 그 결과 경쟁력 유지를 위해 많은 운용사들은 고객 서비스 수준을 개선하고 통상적으로 제공한 범위 이상의 투자 자문 서비스를 을 제공하였습니다. 비용을 통제하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으로는 기술 활용을 통한 운용 능률화, 및 고객 서비스 활동 계획 효율성 증대 등이 있습니다. 조사 참여자들은 전통적으로 수수료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던 사모 투자 운용사일지라도 몇 년 후에는 수수료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또한 사모 운용사들 역시 투자 서비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높아지는 추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From the experts:

white pencil

"There’s no question that the amount of services we provide has gone up. For the dollar of income we got 30 years ago, that has gone down because we are doing far more for our clients."

- Asset manager

black pencil

"We aren’t of the mindset that lower fees are always better, because you get what you pay for. All things equal, lower fees are better, but we’ve tried to make sure we are ever diligent that our fees are incredibly competitive."

- Asset owner

This is just a snapshot. Get the full Seeking Returns report by registering at the top of the page.

Request the report

Please kindly read our Privacy Policy first before you request the full copy of research. In requesting this information you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bout the 10x10 report

In 3Q 2021, Russell Investments held its annual Partner Innovation Lab, a roundtable event where large asset owners from various geographies brainstorm their greatest concerns and areas of interest. We asked Cerulli Associates to interview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s well as some of our asset management partners, to extract individual perspectives on topics discussed at the event.

The result is a three-part series:

investors seeking returns icon

투자자들의 투자 수익 추구 방법
(This report)

Participating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ed the following corporate retirement plan sponsors, in alphabetical order: The Boeing Company, Fujitsu Global, Mazda Motor Corporation, Microsoft, Mitsubishi Electric, Nestlé, Roche and Unilever. It also included the following non-profit investors: The New York Presbyterian Hospital,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and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articipating alternative asset managers included: Brevan Howard, Hamilton Lane and Oaktree Capital Management. Participating fixed-income asset managers included: BlueBay Asset Management and Western Asset Management Company. And participating multi-asset-class managers included BlackRock, J.P. Morgan Asset Management, Morgan Stanley, Putnam Investments and Wellington Management.